군사사학과는
군사사학과는 사관학교에만 유일하게 존재하는 역사 및 전쟁사 분야에 특화된 학과로, 미래 대한민국 육군을 이끌어갈 군사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과는 생도들의 올바른 역사관, 국가관, 안보관 형성을 위한 일반역사 교육에서부터 임관 후 장교들이 지휘관과 참모, 그리고 안보 전문가로서 실전에서 활용 가능한 전쟁사 및 전략, 전술 분야에 관한 심화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역사 교육과목인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의 이해 등은 군사적 측면을 중심으로 하여 사관생도의 올바른 역사의식과 안보관 확립에 기여한다. 또한, 이들 일반역사 과목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전쟁사 수업과 군사전략론, 무기발달사와 같은 심화 교육과정을 위한 밑거름의 역할을 한다. 정예 군사전문가 양성을 위한 심화 교육과정은 단순히 전통적인 군사사상과 군사제도 교육에만 머무르지 않고, 급격히 변화하는 미래 전장 환경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군사혁신과 지역분쟁, 미래전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 활동의 기회를 전공 생도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현대전의 새로운 유형인 사이버전에 대한 강의
교과 과정
《전공기초, 전공일반: 3학점, 전공심화:4학점, 창의연구: 1학점》
구분 |
3-1학기 |
3-2학기 |
4-1학기 |
4-2학기 |
|
---|---|---|---|---|---|
전공필수 (48학점) |
기초 |
군사사연구방법론 (MH201) 한국사의 이해Ⅰ (MH202) 동양사의이해(MH203) 서양사의이해(MH204) |
한국사의 이해 Ⅱ(MH205) |
세계대전사(MH207) |
|
일반 |
|
동양전략사상사 (MH301) 서양전략사상사 (MH302) |
군사제도사(MH303) 21세기전쟁(MH307) |
현대전쟁연구(MH305) 무기발달사(MH306) |
|
심화 |
|
세계의전쟁(MH401) |
한국의전쟁(MH402) |
6·25전쟁사세미나(MH404) |
|
선택적 창의융합 |
국제정치사 Ⅰ(PD204) 영어청취(EL202) 민사법특강(LP202) 경영학원론(BE203) |
국제정치사Ⅱ(PD205) 심리전의 이해(PS401) 미시경제학(BE204) 시사영어(EL301) |
국제분쟁론(PD209) 군사행정법(LP306) 전장심리연구(PS402) 군사영어강독(EL304) |
전쟁법(LP308) Military Bridfing(EL308) 국제통상학(BE307) 긍정심리학(PS308) |
|
전공선택 (3학점) |
창의연구 |
|
창의연구(EV404) |
창의연구(EV404) |
창의연구(EV404) |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MH201 |
군사사 연구방법론 |
군사사 연구의 의의, 개념 및 범위 / 연구방법 및 고려요소 이해하고 군사사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사례를 연구한다. |
MH202 |
한국사의 이해 Ⅰ |
조선 후기까지의 한국사를 중심으로 정치·사회 부문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여 올바른 역사의식 및 한국의 전쟁 이해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
MH203 |
동양사의 이해 |
동양의 역사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고, 동양의 주요 전쟁과 정쟁에서 사용된 전술 및 전략에 대한 이해를 통해 동양사를 학습한다. |
MH204 |
서양사의 이해 |
서양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주요 사건을 숙지하고 서양사의 역사적 보편성과 특수성, 역사 일반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과목이다. |
MH205 |
한국사의 이해 Ⅱ |
조선 후기 이후 한국 근현대 역사적 흐름을 파악하고, 생도들의 올바른 국가관과 역사관 확립에 기여한다. |
MH207 |
세계대전사 |
제 1·2차 세계대전의 발생 원인과 국제체제의 변화과정을 주요 전투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현재 국방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 전장에서의 함의를 살펴본다. |
MH301 |
동양전략사상사 |
동양의 군사 고전들을 분석함으로써, 작전술과 용병론, 지휘통솔, 군대의 편성과 유지 등에 관한 중요 개념 및 이론 탐구한다. |
MH302 |
서양전략사상사 |
서양 군사사상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각 사상의 내용을 숙지하고 현대적 의미를 고찰하는 과목이다. |
MH303 |
군사제도사 |
각 시기별 군사제도가 어떠한 배경에서 형성되었는지 이해하고 시기별 군사제도가 가지는 장·단점을 포착하여 현재적 교훈을 도출한다. |
MH307 |
21세기 전쟁 |
|
MH305 |
현대전쟁연구 |
현대 새로운 전쟁의 양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제4세대 전쟁, 세계 각 지역별로 벌어지고 있는 분쟁에 대해서 분석하는 연구론적 과목이다. |
MH306 |
무기발달사 |
사회 제반 요소의 변화 및 발전과 무기발달의 관계를 파악하고 무기의 발달이 전쟁양상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이해한다. |
MH401 |
세계의 전쟁 |
세계 주요전쟁의 원인, 사용된 무기체계 적용된 전략·작전술 등을 탐구·분석하여, 전쟁이론, 전략·작전술의 이론과 실제, 장차전의 변화추세를 학습하고 지속적인 전쟁사 연구능력과 미래전쟁 수행능력을 배양한다. |
MH402 |
한국의 전쟁 |
주요 전쟁의 원인과 전개 과정, 동아시아적 영향을 파악하고, 전사(戰史)로부터 교훈을 도출하여 장차 국제관계 및 전쟁에 적용하는 능력을 구비하는데 목적이 있다. |
MH404 |
6.25전쟁사세미나 |
6․25전쟁 전투사례 분석 및 교훈을 도출하고, 장차전 및 미래전에 필요한 군사적·역사적 식견 배양을 위한 과목이다. |
EV404 |
창의연구 |
특정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연구방법을 지도교수와 함께 토의하여 창의적 연구를 진행한 후 논문을 작성하여 발표한다.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군사사학과는 역사 및 전쟁사 연구를 통하여 대한민국 장교로서 가져야 할 역사관, 국가관, 안보관을 정립하고 정체성을 확립
- 전쟁과 전략에 대한 본질적인 고찰로부터 시작하여 동서양 고대∼현대 전쟁사를 전략·작전·전술적 차원에 걸쳐 분석하고 군사전략 등을 탐구하여 군사학을 폭넓게 이해하고 장차 전략과 전술을 아우르는 군사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
- 군사혁신, 지역분쟁 연구로 전공생도들은 야전에서 보병기갑포병 병과 등 전투부대 지휘관과 참모로서 갖추어야 할 전술적 식견을 배양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정책기획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전략적 식견을 겸비한 군사전문가로서 국가안보와 국방에 기여
학과 연락처
- 학 과 장 :문준호 교수
- 연구실: 054-330-4641
교수진 소개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박동휘 |
부교수 |
박사 (워싱턴대) |
군사사 |
전쟁사 사이버전 군사전략 |
군사전략론 21세기전쟁 현대전쟁연구 |
문용득 |
조교수 |
박사수료 (중앙대) |
국제정치학 |
한국전쟁사 세계대전사 군사정보 |
한국전쟁사 무기발달사 세계대전사 |
문준호 |
부교수 학과장 |
박사 (고려대) |
역사교육 |
한국근현대사 한국군사사 보훈제도사 |
군사전략론 한국전쟁사 한국사 |
박영진 |
조교수 |
석사 (고려대) |
언론학 |
전쟁사 미디어전 정책PR |
군사전략론 세계의 전쟁 군사사연구방법론 |
김그슬 |
강사 |
석사 (국방대) |
역사·동양 철학 |
6·25전쟁사 동아시아 안보 |
한국전쟁사 |
송진호 |
강사 |
석사 (국방대) |
군사학 |
군사전략 미국 국방 및 군사 |
군사전략론 |
정준혁 |
강사 |
박사수료 (UCSD) |
비교정치 |
정치심리 비교정치행태 역정보 설문조사 및 측정 |
군사전략론 현대전쟁연구 |
박희성 |
조교수 |
박사 (고려대) |
역사 |
6·25전쟁사 | 한국의 전쟁 6·25전쟁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