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과는
기계공학은 수 세기 동안 인류의 과학기술과 함께 발전하며 모든 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민간 산업 분야는 물론이고 군사 분야에도 광범위하게 관련되어 있다. 특히 과학화된 전장 환경에서 첨단무기체계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기계공학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사관생도들은 총, 화포, 유도무기, 전차, 헬기, 군용차량, 로봇 등 첨단 무기체계와 관련된 공학지식을 학습함으로써 임관 후 야전 및 정책부서의 무기체계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특히, 기계공학과의 교수진은 생도들이 장차 우리 군의 최고의 무기체계 분야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야전과 연계된 내실 있는 교과과정을 편성하였으며,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 실습 세트, 3D 프린터, 풍동시험기, 유공압 제어 실습 세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첨단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과 과정
《전공기초, 전공일반: 3학점, 전공심화:4학점, 창의연구: 1학점》
구분 |
3-1학기 |
3-2학기 |
4-1학기 |
4-2학기 |
|
---|---|---|---|---|---|
전공필수 (48학점) |
기초 |
기계공학개론(ME201) 공업수학(ME202) 공업역학(ME203) |
기계가공학(ME204)
|
|
|
일반 |
열역학(ME301)
|
재료역학(ME302) 동역학(ME303)
|
유체역학(ME304) 열전달(ME305) 군차량공학(ME306) |
기계공학실험(ME307) 전산구조역학(ME308)
|
|
심화 |
|
병기공학(ME401) |
방탄공학(ME402) |
국방로봇공학(ME403) |
|
선택적 창의융합 |
C프로그래밍(CS302) 선형대수학(DS201) |
기초구조공학(CE203) 전자기학(EE204) |
철근콘크리트공학(CE305) 인공지능개론(DS305) |
임베디드시스템(CS306) 인간공학시스템(DS307) |
|
전공선택 (3학점) |
창의연구 |
|
연구(ME404) |
연구(ME404) |
연구(ME404) |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ME201 |
기계공학개론 |
기계공학에 입문하면서 기계공학이 무엇인지를 알고 관련 기초지식을 이해하며 필수적인 역학과목(정역학, 재료역학, 유체역학, 동역학, 열역학/열전달)들의 기본을 다질 수 있다. |
ME202 |
공업수학 |
기계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석을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선형대수학, 벡터, 미분방정식 등을 주로 다루는 기초과목이다. 선형대수학은 기본적인 행렬 연산을 통하여 다 자유도 해석에 필요한 기초수학 지식을 학습하고 벡터와 미분방정식을 통하여 열전달, 고체역학, 유체역학, 탄도학 등과 관련된 고급수학 지식을 학습 |
ME203 |
공업역학 |
공업역학은 기계공학의 기초 과목으로 정역학 및 동역학의 기초 지식과 응용방법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벡터, 힘과 모멘트, 질점과 강체에 대한 평형 조건, 무게중심, 도심, 관성 모멘트, 운동역학, 운동학, 뉴튼의 법칙, 에너지 및 운동량 법칙을 설명 |
ME204 |
기계가공학 |
기계가공학은 각종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기계부품을 가공하기 위한 기술과 재료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가공법을 교육한다. 절삭, 용접 등 가공 방법에 따라 변화하는 기계재료의 재료역학적 성질을 이해하여 올바르게 기계부품을 가공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ME301 |
열역학 |
열역학의 기본개념, 일과 열의 관계, 물질의 역학적 성질(온도, 압력, 체적, 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등)의 개념, 시스템과 검사 체적에 대한 열역학 제1, 2 법칙을 유도하고, 열역학적 과정과 유용에너지, 열역학 사이클 해석방법 등에 대하여 다룬다. |
ME302 |
재료역학 |
응력, 변형률을 이용하여 각종 기계요소를 분석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포신 등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설계에 이용할 수 있다. |
ME303 |
동역학 |
운동을 일으키는 힘의 작용과 물체의 운동에 대해 학습하여 질점과 강체의 운동학, 운동역학에 대해 다루며 기계 진동을 학습할 수 있다. |
ME304 |
유체역학 |
베르누이 방정식, 파스칼의 원리 등 기초적인 이론을 통하여 유기압 현수장치, 유압잭 등 유체를 이용한 각종 기계장치에 작용하는 힘과 물체 주변이나 관 내부의 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대해 다룬다. |
ME305 |
열전달 |
각종 기계부품에서의 전도, 대류, 복사 등 3가지 모드에 의한 열 전달을 주로 다루며 내연기관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열의 냉각 방법을 설명하고 각종 화포의 포신의 효과적인 냉각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
ME306 |
군차량공학 |
군차량의 엔진과 차체, 각종 부품에 적용된 열역학, 재료역학, 동역학 등의 공학적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루며 특히, 최근 내연기관을 대체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동력장치와 연료전지를 이용한 차량에 대한 교육을 중점적으로 실시하여 미래 무기체계 운용에 적합한 지식을 습득 |
ME307 |
기계공학실험 |
기계부품에 사용되는 재료를 선정하는 것부터 완성품의 검증까지 산업의 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험들을 소개하고 실습하는 과목으로 인장 및 충격 실험에서 풍동실험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실험들을 진행한다. |
ME308 |
전산구조역학 |
컴퓨터와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변형, 응력 및 동적 특성을 분석하는 과목으로 각종 미분방정식과 구조동역학 방정식을 수치해석법 및 컴퓨터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엑셀, 메이플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4차 산업혁명과 연계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ME401 |
병기공학 |
탄약, 탄두 및 신관, 포신의 설계 및 제작, 병기재료, 강내와 강외 및 최종 탄도학 등과 관련된 이론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각종 병기의 원리 및 설계기술을 이해하여 장차 다양한 병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창의력을 배양할 수 있다. |
ME402 |
방탄공학 |
군 및 민가에서 사용하는 방탄기술을 학습하는 과목으로 장갑을 설계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방탄한계속도, 방탄효율 등을 분석하고 대전차탄, 소화기탄, 화학에너지탄 등의 장갑 관통원리와 이를 방호하기 위한 장갑의 방호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
ME403 |
국방로봇공학 |
로봇시스템의 특성과 매니퓰레이터, 모바일 로봇 등의 자세 및 속도 분석에 대해 학습하는 과목으로 좌표 변환과 기구학 및 동역학적 해석을 통해 로봇의 움직임에 대해 분석하고 시스템 특성을 통해 제어부를 설계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론에 대해 학습 |
ME404 |
창의연구 |
창의연구는 자격조건을 충족하는 생도에게 제공되며, 전공 분야 중 특정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연구방법을 지도교수와 함께 토의하여 창의적 연구를 진행한 후 논문을 작성하여 학회에서 발표한다.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기계공학에 대한 소양을 바탕으로 무기체계 관련 군사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 함양
- 무기체계의 작동원리 이해를 바탕으로 최신 과학기술이 적용된 미래 무기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공학적 문제해결 능력 발휘
- 기계공학 전공과 관련성이 있는 병과로는 병기, 병참, 수송 등이 있으며 기타병과도 지원 가능
학과 연락처
- 학과장 : 변무현 교수
- 연구실 : 054-330-4919
교수진 소개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변무현 |
기계공학과장 |
박사 |
산업 및 시스템공학 |
인공지능 |
방탄공학 |
김우람 |
교수 |
박사 (Texas A&M) |
기계공학 |
유한요소해석법 시간적분법 |
열전달 |
황정민 |
교수 |
석사 |
기계공학 |
전산유체역학 |
유체역학 |
박승진 |
강사 |
석사 |
무기체계 |
인공지능 |
기계공학개론 |
정지행 |
강사 |
석사 |
재료공학 |
재료 및 EMP방호 |
기계공학실험 |
윤동호 |
강사 |
석사 |
항공우주공학 |
재사용발사체 |
국방로봇공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