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공학은
로봇을 설계, 제조하거나 이를 응용하는 분야에 대한 학문이다. 산업의 발전과 함께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로봇공학은 제조, 의료, 일상생활 등 민간 분야는 물론이고 전투, 감시, 정찰 등 군사 분야에도 로봇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로봇공학을 전공하는 생도들은 기계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과학, 국방시스템과학 분야 중 로봇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고 장차 무인화된 지능형 전투 로봇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잠재역량을 기르게 된다. 이를 위하여 로봇공학과는 기계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과학과, 국방시스템과학과 등 다양한 학과의 학문이 융합된 교과과정을 편성하고 있으며, 유공압 제어 실험 세트, 공장자동화 실습세트, 3D 프린터, 인공지능 실습세트 등 최신 장비를 활용하여 실질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과 과정
《전공기초, 전공일반: 3학점, 전공심화:4학점, 창의연구: 1학점》
구분 |
3-1학기 |
3-2학기 |
4-1학기 |
4-2학기 |
|
---|---|---|---|---|---|
전공필수 (48학점) |
기초 |
선형대수학(DS201) 공업수학 (EE201,ME202) 회로이론I(EE202) |
자료구조및알고리즘 (CS203) 공학프로그래밍(DS204) |
|
|
일반 |
디지털회로설계(EE301) C프로그래밍(CS302) |
회로이론II(EE302) 재료역학(ME302) 동역학(ME303) |
파이썬프로그래밍(CS304) 유체역학(ME304) 인공지능개론(DS305) 데이터통신(EE305) 시뮬레이션(DS307) |
임베디드시스템(CS306) 인공지능(CS308) 인간공학시스템(DS308) 전산구조역학(ME308) |
|
심화 |
|
소프트웨어공학(CS401) |
데이터마이닝(DS401) 전자회로(EE402) |
디지털제어공학(EE403) 국방로봇공학(ME403) |
|
전공선택 (3학점) |
창의연구 |
|
연구(RE404) |
연구(RE404) |
연구(RE404) |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DS201 |
선형대수학 |
선형대수학은 선형연립방정식을 푸는 수학 이론과 방법들을 연구하는 과목으로 행렬연산, 벡터공간, 고유치와 고유벡터, 선형변환 등에 관한 기초지식 배양 |
EE201/ ME202 |
공업수학 |
다양한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석을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선형대수학, 벡터, 미분방정식 등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 |
EE202 |
회로이론Ⅰ |
회로에서 전압, 전류, 저항 등의 개념과 회로의 구성 소자를 이해하고, 저항으로 이루어진 회로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초 회로 이론들을 학습 |
CS203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선형, 비선형 등 특수한 형태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 자료검색 및 분류 작업 시 효율을 높이는 방법과 시스템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하기 위한 기초 능력 배양 |
DS204 |
공학프로그래밍 |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R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 운용능력을 습득하고, 이론으로 학습한 데이터 분석 및 최적화 기법들을 구현해 봄으로써 분석적 사고능력을 배양 |
EE301 |
디지털회로설계 |
디지털회로를 구성하는 논리게이트와 플리플롭의 종류 및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디지털 논리회로를 해석하거나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 |
CS302 |
C 프로그래밍 |
C언어 구조 및 문법을 습득하여 프로그램 개발 기초능력을 배양, 팀 프로젝트를 통한 고차원의 프로그램 개발 능력 배양 |
EE302 |
회로이론Ⅱ |
에너지 저장 소자인 인덕터와 캐패시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저항-인덕터, 저항-캐패시터, 저항-인덕터-캐패시터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을 학습 |
ME302 |
재료역학 |
응력, 변형률을 이용하여 각종 기계요소를 분석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포신 등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설계에 활용하는 방법 학습 |
ME303 |
동역학 |
운동을 일으키는 힘의 작용과 물체의 운동에 대해 학습하여 질점과 강체의 운동학, 운동역학에 대해 다루며 기계 진동을 학습 |
CS304 |
Python 프로그래밍 |
Python 언어 구조 및 문법을 습득하여 프로그램 개발 기초능력을 배양, 팀 프로젝트를 통한 고차원의 프로그램 개발 능력 배양 |
ME304 |
유체역학 |
베르누이 방정식, 파스칼의 원리 등 기초적인 이론을 통하여 유기압 현수장치, 유압잭 등 유체를 이용한 각종 기계장치에 작용하는 힘과 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대해 학습한다. |
DS305 |
인공지능개론 |
인공지능의 수학적 기초 및 프로그래밍, 무인 자율체계, 데이터 관리 등 국방에 적용 가능한 최신기술 및 응용 분야에 대해 학습 |
EE305 |
데이터통신 |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기념, 그리고 상호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 및 전송 기술을 학습 |
DS307 |
시뮬레이션 |
모델링·시뮬레이션에 대한 기본 개념과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을 위한 통계적 분석 방법을 학습하고,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의 원리를 이해하며 다양한 문제들을 직접 구현·분석 |
CS306 |
임베디드 시스템 |
임베디드 시스템의 정의와 기본적인 시스템 이해를 위한 기초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론 지식 함양.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을 통한 시스템 개발 실습 |
CS308 |
인공지능 |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의 규칙·형식·구조, 인공 신경망과 기계 학습 등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 인공지능 활용 분야에 대한 이해와 분석 및 응용능력 배양 |
DS308 |
인간공학시스템 |
인간의 신체·인지·조직적 한계점을 보완하여 효율적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간의 특성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보완하는 기법에 대해 학습 |
ME303 |
전산구조역학 |
컴퓨터와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변형, 응력 및 동적 특성을 분석하는 과목으로 각종 미분 방정식과 구조동역학 방정식을 수치해석법 및 컴퓨터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
CS401 |
소프트웨어공학 |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전 과정과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반 기술 소개. 이용자 환경의 설계, 소프트웨어 재사용, CASE, 객체지향 분석 방법 및 설계 능력 배양 |
DS401 |
데이터마이닝 |
다량의 데이터를 다양한 분석 기술을 통해 유용한 정보와 지식으로 변환해주는 기술에 대한 학습과 함께 데이터마이닝의 기법·시스템을 소개하고 향후 적용에 대하여 학습 |
EE402 |
전자회로 |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 소자의 동작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자 회로의 특성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학습 |
EE403 |
디지털제어공학 |
일상 또는 군 전술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공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제어시스템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
ME403
|
국방로봇공학 |
로봇시스템의 특성과 로봇의 자세 및 속도 분석에 대해 주로 다루며 로봇의 움직임에 대해 분석하고 시스템 특성을 통해 제어부를 설계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론에 대해 학습 |
RE404 |
창의연구 |
창의연구는 전공 분야 중 특정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연구방법을 지도교수와 함께 토의하여 창의적 연구를 진행한 후 논문을 작성하여 발표한다.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로봇공학에 대한 기본소양을 바탕으로 미래 무인화 전투 로봇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융합적 사고능력을 배양하여 국방 분야의 로봇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확보
- 기계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과학, 국방시스템과학과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학과 연락처
- 지도교수 : 권성진 교수
- 연구실 : 054-330-4915
교수진 소개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권성진 |
조교수 |
석사 |
기계공학 |
로봇제어 |
국방로봇공학 동역학 공업역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