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공학과는
무기공학은 무기체계에서 발생하는 역학적 현상에 대하여 4대 역학 기반의 공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무기체계 및 관련 장비의 설계, 제작, 성능, 이용 등에 관하여 기초적 또는 응용적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특히, 과학화된 전장 환경에서 첨단무기체계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무기공학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무기공학을 전공하는 생도들은 총, 화포, 유도무기, 전차, 헬기, 군용차량, 로봇 등의 각종 무기체계에 적용된 공학적 원리를 배우고 응용방법을 학습하여 향후 무기체계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교과 과정
전공교양 |
공업수학(WE101) |
||
---|---|---|---|
전공일반 |
무기공학개론(WE201) |
국방무인체계(EW202) |
군차량공학(WE301) |
전공심화 |
재료역학(WE403) |
방탄공학(WE404) |
국방과학기술(WE401) |
군사필수 |
미래 무기체계 |
||
군사선택 |
로켓과 미사일 |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WE101 | 공업수학 | 기체계에서 발생하는 역학적 현상을 수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선형대수학·벡터·미분방정식 등 대학수준의 수학을 학습 |
WE201 | 무기공학개론 | 각종 무기체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기초 탄도학 및 장갑재료 관련된 기초지식 습득을 통해 탄도공학 등 전공과목 학습에 필요한 소양 함양 |
WE202 | 국방무인체계 | 각 군에서 현재 운용중인 무인 무기체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육군 운용 예정인 MUM-T의 개념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작전 수행에 필요한 군사적 소양 함양 |
WE203 | 정역학 | 지점과 부재의 종류를 고려한 강체의 및 힘·모멘트 평형, 이로부터 그려내는 자유물체도를 통해 평형상태에 놓여있는 각종 구조물과 기계요소의 역학적 현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 |
WE204 | 열역학 | 물질의 열적 특성과 관련된 물리량(온도, 압력, 체적, 엔탈피 및 엔트로피 등)과 시스템·검사체적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열역학 제1·2법칙을 학습하고, 에너지의 변환이나 각종 열기관의 작동원리를 이해 |
WE205 | 탄도공학 | 포탄의 강외탄도학적 특성과 표준 탄도방정식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극초음속 미사일과 정밀유도포탄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 화력체계의 운용에 요구되는 기초지식을 학습 |
WE206 | 기계가공학 | 무기체계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기계설계와 금속재료의 특성을 학습하고, 절삭가공(선반, 밀링 등) 및 아크용접에 대한 실습 진행을 통해 부품가공기술의 기초 소양을 함양 |
WE207 | 동역학 | 병진 및 회전운동 중인 질점 또는 강체의 운동학·운동역학·진동학적 내용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종 무기체계 구성요소의 작동원리를 해석 및 이해 |
WE301 | 군차량공학 | 육군 기동장비에 사용되는 엔진·차체 및 각종 구성부품에 적용된 역학적 내용을 이해하고, 나아가 하이브리드 동력장치 또는 연료전지와 같은 미래형 기동장비에 적용될 수 있는 추진체계의 작동원리와 연구동향을 학습 |
WE302 | 열전달 | 기계요소에서 발생하는 3가지 종류의 열전달 모드를 학습하고, 열역학 제1법칙 및 열전달 방정식을 이용해 무기체계 부품의 효과적인 냉각 방법을 이해 |
WE303 | 유체역학 | 유체의 기본적인 성질과 분석을 위한 접근법, 베르누이 방정식 및 운동량 방정식 등 유체운동의 해석에 필요한 내용을 학습하고, 기계요소의 주변부 혹은 내부에 흐르는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역학적 현상을 분석 |
WE304 | 무기공학실험 | 3D 프린터를 포함한 실험장비를 이용, 재료실험(인장, 비틀림, 충격, 경도) 및 열유체실험(대류열, 정수역학, 풍동)을 수행함으로써 이론적으로 학습한 내용을 접목한 실험결과 분석방법을 체득하고, 무기체계 생산 및 검수과정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주요 실험에 대해 이해 |
WE401 | 국방과학기술 | 첨단 무기체계 개발에 적용된 각종 과학기술의 원리와, 실제 적용된 무기체계 특성을 학습하고 장차 첨단 무기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
WE402 | 병기공학 | 탄약·탄두·신관·포신의 설계 및 제작과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고, 병기의 작동원리를 이해하여 장차 첨단 무기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
WE403 | 재료역학 | 재료의 변형과 관련된 물리량, 응력변환에 따른 연·취성 재료의 파괴거동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종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기계요소에 대한 응력설계 방법을 학습 |
WE404 | 방탄공학 | 관통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자 또는 장갑의 변형, 장갑설계 단계에서 요구되는 방탄한계속도 및 방탄효율 시험평가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미래 무기체계에 적용될 장갑 선정에 요구되는 소양을 함양 |
WE405 | 방탄재료 | 일반화학적 기초 개념과 장갑으로 사용되는 소재의 재료과학적 특성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충돌 탄자에 의해 장갑에 발생하는 응력집중현상을 해석하여 미시적 관점에서의 방탄 원리를 이해 |
WE406 | 유한요소해석 | 미분방정식을 포함하는 열전달·재료 및 유체역학과 관련된 역학적 문제를 수치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솔루션을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코드 작성 및 전산해석 결과에 대한 분석능력을 배양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무기 및 기계공학적 소양과 공학적 문제해결능력을 바탕으로 정책부서 및 연구기관에서 무기체계 개발ㆍ도입ㆍ운용ㆍ시험평가와 관련 있는 제분야에서 임무수행이 가능하다.
- 무기공학 전공지식은 기본적으로 모든 병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병기ㆍ군수병과와 소요 및 획득 관련 부서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다.
학과 연락처
- 학과장 : 김우람 교수
- 연구실 : 054-330-4911
교수진 소개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중령 김우람 |
기계공학과장 |
박사 |
기계공학 |
열전달 |
열전달 |
중령 황정민 |
교수 |
석사 |
기계공학 |
유체역학 |
유체역학 |
중령 변무현 |
교수 |
박사 |
산업 및 |
방탄공학 |
방탄공학 |
대위 박승진 |
강사 |
석사 |
무기체계 |
기계공학개론 |
무기공학개론 |
대위 정지행 |
강사 |
석사 |
재료공학 |
기계공학실험 |
무기공학실험 |
대위 윤동호 |
강사 |
석사 |
항공우주공학 |
재사용발사체 |
국방로봇공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