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과는
전자공학은 전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포함한 우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들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반도체, 통신, 회로 등의 분야로 나눌 수 있는 전자공학은 드론, 5G, IoT 기술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근간이 되며 사회를 초연결·초지능화 시대로 변화시키는데 핵심적인 정보통신기술의 바탕이 된다. 전장환경 역시 전자공학 기반의 초고속 정보통신 기술로 인해 디지털 전장환경, 네트워크 중심 작전환경 등 초연결 네트워크 기반의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다. 드론을 이용한 감시정찰에서, 군사용 위성을 통한 정보통신, 전자전 기반의 새로운 전쟁양상까지 모든 분야에서 전자공학 기술이 적용 되어진다. 전자공학과에서는 이러한 전장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전자전, 정보전에서의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SMART)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의 기초로부터 응용 분야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과 과정
전공기초 |
공학수학 (EE201) |
신호 및 시스템 (EE203) |
전자기학 (EE204) |
---|---|---|---|
전공일반 |
논리회로 (EE301) |
마이크로파공학 (EE304) |
전자기전 (EE307) |
전공심화 |
통신시스템 (EE401) |
캠스톤디자인 (EE403) |
마이크로로봇 (EE404) |
전공교양 |
이해하기 쉬운 전자공학 (EE101) |
공학프로그래밍기초 (EE102) |
|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EE101 | 이해하기 쉬운 전자공학 | 전자공학 입문자를위해전기회로의소자,전기의 생성과 반도체 집적회로 등 심화 과목에 요구되는 기초지식 함양 |
EE102 | 공학프로그래밍 기초 | 아두이노, 매틀랩(MATLAB)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다양한 예제를 통해 문제 해결능력 배양 |
EE201 | 공학수학 | 다양한 공학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수학을 습득 |
EE202 | 기초 회로이론 | 회로의 구성 소자를 이해하고 회로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이론 학습 |
EE203 | 신호 및 시스템 | 시간과 주파수 측면에서의 신호 해석을 통해 신호 및 시스템을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 |
EE204 | 전자기학 |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을 통한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해하고 전자기파의 원리를 이해 |
EE301 | 논리회로 | 디지털 회로를 구성하는 논리게이트와 플립플롭의 종류, 특성을 이해하고 디지털 논리회로를 해석하거나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 |
EE302 | 회로이론 | 회로이론Ⅰ에 이어 에너지 저장 소자인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회로 해석방법을 학습 |
EE303 | 반도체 공학 | 반도체 소자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반도체의 제작 및 동작 원리를 학습 |
EE304 | 마이크로파 공학 | 마이크로파 전송에 관련된 기본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마이크로파 회로 해석 및 설계를 학습 |
EE305 | 네트워크 공학 | 네트워크의 기본개념과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소프트웨어및네트워크장비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을 학습 |
EE306 | 전파 및 안테나 공학 | 전자파의 원리 및 전자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의 기본원리를 학습하고 다양한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 측정방법을 학습 |
EE307 | 전자기전 | 전자기전의 기초개념으로부터 전자기공격, 전자기보호, 전자기지원 기법과 최신 위협요소 및 대응방식 등을 학습 |
EE308 | 마이크로프로세서 | 컴퓨터 시스템 구조의 기초적인 지식을 다루며, CPU의 작동 원리 및 내부구조, 명령어 집합 및 파이프라이닝을 이해 |
EE309 | 과학기술세미나 | 최신 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소개와 토의를 통해 특정 기술을 논술 형식으로 정리 및 발전시키는 능력을 배양 |
EE401 | 통신시스템 | 통신신호 처리에 사용되는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방식의 기본원리를 이해 |
EE402 | 전자회로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 소자의 동작 원리와 다양한 전자회로의 특성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학습 |
EE403 | 캡스톤디자인 | 통합적 전공지식을 활용한 문제해결 및 실험을 진행하고 자유주제에 대한 시스템을 설계, 제작 |
EE404 | 마이크로 로봇 | 초소형 전자기계시스템 제작 기술인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기술을 이해하고 MEMS 기술의 활용을 학습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전자공학에 대한 기본소양을 바탕으로 야전 지휘관 및 참모 등 각종 직책의 임무를 수행시 정보통신분야의 전문가로서 지휘통제체계(C4I체계) 및 통신체계를 운용 능력 발휘 할 수 있다.
- 군 정책부서 및 연구기관에서 정보통신분야에 대한 정책 계획, 획득 및 분석 평가, 연구개발 등 임무수행시 전자공학의 기술적 접근 및 응용능력을 발휘가 가능하다.
- 전자공학 학문과 관련이 있는 병과로는 정보통신ㆍ방공ㆍ정보 병과 등이 있으며, 보병ㆍ포병ㆍ기갑 등 기타병과에도 지원이 가능하다.
학과 연락처
- 학과장 : 박상현 교수
- 연구실 : 054-330-4923
교수진 소개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소령 박상현 |
전자공학과장 |
석사 |
정보보호 |
MANET |
디지털회로설계 |
대령 두석주 |
교수 |
박사 |
전자공학 |
RF 회로 |
마이크로파공학 |
중령 김대영 |
교수 |
박사 |
전자공학 |
마이크로/ |
신호및시스템 |
소령(진) 이충만 |
강사 |
석사 |
물리학 |
고출력레이저 |
전자기전(군사학) |
대위 오충만 |
강사 |
박사수료 |
사이버보안 |
사이버전자전 |
사이버전자전 |
중위 박경수 |
강사 |
석사 |
전자공학 |
제어 |
전자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