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학과는
공학분야에서 가장 오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가 인프라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한 도로, 교량, 터널, 댐 등 사회기반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계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또한, 자연 재해방지 시설물, 자연으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건설공학은 SOC(사회간접자본 시설)의 근간을 이루는 학문으로서 민간 산업 뿐만 아니라 방호공학을 비롯한 미래 전장 환경 분야에서 군사적으로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건설공학과는 이러한 현실과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군사 및 방호시설물의 해석 및 시공관리능력, 지반환경과 지형 공간정보의 이해 등 軍 건설분야와 관련한 전문지식을 교육함으로서 임관 후 실무 및 정책부서에서 전문가적 식견으로 공사업무수행, 계획 및 관리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와 능력을 제공한다.
교과 과정
전공기초 |
공업수학 (CE201) |
수리학 (CE203) |
|
---|---|---|---|
전공일반 |
건설시공학 (CE301) |
기초공학 (CE304) |
강구조공학 (CE307) |
전공심화 |
철근콘크리트 (CE401) |
건설재료 및 실험 (CE403) |
공간정보공학 (CE404) |
전공교양 |
건설공학개론 (CE101) |
공학설계 및 CAD (CE102) |
|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CE101 | 건설공학개론 | 구조공학, 지반공학, 측량학, 수공학 등의 건설공학의 주요 분야를 학습함으로써 건설 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유도. |
CE102 | 공학설계 및 CAD | 건설공학의 설계, 시공, 인테리어 등 시각화 가능한 내용을 도면화하고 3D 모델링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도면 작성 및 모델링을 학습. |
CE201 | 공업수학 | 건설공학 전공과목 학습에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을 다루는 과목으로 수학의 기초가 약한 학생들도 건설공학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삼각함수, 벡터, 미분과 적분등의 전공 기초 수학적 내용 학습. |
CE202 | 건설계획 | 건설 사업에 대한 과정과 기초적인 용어를 이해하고, 시설별 기능적인 부분과 건축 설계에 필요한 건축 요소들을 학습. |
CE203 | 수리학 | 정지되어 있거나 흐르는 물에 대한 역학적 거동과 관련한 기초이론과 응용학습을 통해 유체의 기본 성질 및 특성, 정수역학 및 동수역학의 적용, 관수로 및 개수로에서의 수리학적인 문제들을 해결. |
CE204 | 구조역학 | 건설된 구조물이나 부재들에 대한 외부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재료가 견딜 수 있는 범위의 응력(stress), 변형률(strain) 및 변위 (displacement)에 대한 해석 능력 배양. |
CE301 | 건설시공학 | 건축물을 구체적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학습함 으로써 원가·공정·품질·안전·환경관리 통해 기능·구조·미의 3요소를 갖춘 건축물을 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 |
CE302 | 측량학 | 지구표면이나 그 위·아래에 있는 점 또는 모든 물리적 물체들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 측정, 처리, 배포하는 일련의 방법을 연구 및 학습. |
CE303 | 건설관리 | 종합사업계획 관리, 공정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계약관리 등 건설사업 관리자로서 습득해야 할 프로젝트 관리지식 학습. |
CE304 | 기초공학 | 건물, 고속도로, 댐 등의 기초를 계획, 설계, 시공할 때 토질역학과 지질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기초설계를 학습 |
CE305 | 건설설비 | 급배수시설과 소화 및 방재시설, 전기 및 수송시설 등의 원리를 이해하고, 시공 및 유지관리 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CE306 | 수문학 |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순환과정에서 일어 나는 현상을 이해하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수자원의 효율적인 개발·기획· 관리에 필요한 기본 원리를 학습. |
CE307 | 강구조공학 | 강재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설계, 제작, 시공 및 유지 관리하기 학문으로 허용응력설계법과 한계상태설계법을 학습. |
CE308 | 자원순환공학 | 탄소중립 실현과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며 발생된 폐기물의 순환과정 및 기술을 학습 |
CE401 | 철근콘크리트 | 토목, 건축 구조물 등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보편적인 건설 재료인 철근콘크리트의 기본적 성질 이해와 구조 거동의 설계이론 이해 및 해석과 설계를 학습. |
CE402 | 토질역학 | 흙의 물리적 성질과 응력을 받을 때의 흙의 거동 및 이상적인 조건 하에서 흙의 변형을 학습. |
CE403 | 건설재료 및 실험 | 시멘트 골재, 물, 혼화재료, 조적, 목재 등 다양한 건설재료에 대한 일반적인 성질 뿐만 아니라, KS 규정 및 시방서 등 각종 규정에 맞는 실험방법을 통해 적정 품질의 재료를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 |
CE404 | 공간정보공학 | 지형지물의 물리적 특성과 지리적으로 참조된 제반 현상 및 활동들을 설명, 평가, 묘사하기 위해 영상 및 지리공간정보를 활용하고 분석하는 일련의 활동을 학습.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임관후 야전에서 건설공학분야 전문가로서 군 시설공사계획 및 관리능력을 발휘하고, 정책부서 및 연구기관에서 토목, 건축 및 시설방호와 관련한 군사전문가로서 우리 군의 시설정책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 향후 건설공학과 관련한 자격증(기사, 기술사 등)을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공병병과 선택 시 건설기술인으로서 군 시설관련 업무경력이 100% 인정되고, 시공 설계 및 건설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건설분야의 고급 기술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다.
- 건설공학 전공 시 가장 관련있는 공병병과 1순위 지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병, 포병, 기갑, 방공 인사 등의 병과에도 지원이 가능하다.
학과 연락처
- 학과장 : 조창현 교수
- 연구실 : 054-330-4932
교수진 소개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소령 조창현 |
건설공학과장 |
석사 |
토목환경화학 |
토양오염복원 |
건설계획 및 법규 |
중령 김동환 |
교수 |
박사 |
토목공학 |
Remote Sensing |
지형정보공학 |
소령 이재혁 |
강사 |
석사 |
건설환경공학 |
시스템공학 |
건설설비 |
소령 심규영 |
강사 |
석사 |
대기환경 |
대기오염 |
건설기초수학 |
소령(진) 정상준 |
교수 |
석사 |
안전공학 |
건설안전 |
철근콘크리트공학 |
중위(진) 주현우 |
강사 |
석사 |
지구과학 |
탄소포집배출 |
지반환경공학 |